적용분야 |
치료종류 |
림프 종양 |
조석구 (혈액내과) |
이중항체·면역세포치료 클리닉 중간엽줄기세포치료 |
민기준 (혈액내과) |
이중항체·면역세포치료 클리닉 |
상과염 |
고영진 (재활의학과) |
혈소판풍부혈장(PRP)치료술 |
난청 |
박경호 (이비인후과) |
중간엽줄기세포치료술, 혈소판풍부혈장(PRP)치료술 |
수부상지 질환 |
정양국 (정형외과) |
혈소판풍부혈장(PRP)치료술 |
당뇨병성 족부궤양 |
전영준 (성형외과) |
자가지방유래 간질혈관분획(SVF) 세포치료 |
심근경색증 |
박훈준 (순환기내과) |
심장재생 줄기세포치료 |
중등도 건성안 |
정소향 (안과) |
자가혈청치료술, 혈소판풍부혈장(PRP)치료술 |
급만성 난치성 창상 |
문석호 (성형외과) |
혈소판풍부혈장(PRP)치료술, 자가지방유래 간질혈관분획(SVF) 세포치료 |
당뇨, 췌장 질환 |
이준엽 (내분비내과) |
베타세포 역분화, 췌도이식 세포치료, 캡슐화 췌도이식 |
9개 분야의 임상과 진료 중으로 각기 세포치료와 관련된 임상연구/진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혈액내과는 임상적용이 가능한 세포치료제 개발과 이미 시판된 세포치료제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임상연구/진료를 센터 내 활발하게 진행 중이며, 2021년 세포치료센터 내 이중항체 면역세포치료 클리닉을 개설하였습니다. 동 기관의 가톨릭세포치료사업단 세포생산실(GMP)를 통하여 생산한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인 가톨릭마스터 세포를 스테로이드 불응성 및 진행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에게 투여하여 안전성을 입증하였으며, 다양한 임상과에서 마스터세포를 투여하게 되어 가톨릭세포치료사업단에서 목표로 하는 ‘난치병 치료’를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 되었습니다.
‘자가혈소판 풍부 혈장’을 활용한 임상연구로 이비인후과의 ‘위축성 비염’, ’돌발성 난청’, 안과의 ‘중등도의 건성안’에서 ‘자가혈소판 풍부 혈장 치료술’ 임상연구가 선정됨에 따라 세포치료센터 내 진료과목으로 추가되어 운영하였습니다. 안과 혈소판풍부혈장(PRP) 안약치료술은 2021년 신의료기술로 선정되어 기존의 자가혈청안약과 함께 세포치료센터에서 업무를 전담하고 있으며, 안과 진료파트와 스케쥴을 조율하고 채혈, 원심분리를 포함한 조제 및 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활의학과와 순환기내과는 각각 ‘외측/내측 상과염, 족저근막염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치료술’과‘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과립구집락자극인자에 의해 동원된 골수유래 말초혈액 CD34+ 줄기세포 치료술’이 2014년 보건복지부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되어 센터에서 진료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재활의학과의 PRP 치료술은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자가혈소판풍부혈장(PRP)을 환부에 주사하는 시술로서 상과염 환자를 대상으로 2019년 신의료 기술에 선정된 이후 대상자들에게 꾸준한 치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형외과에서도 수부상지 질환자를 대상으로 PRP 치료술 적용을 위해 진료를 신설하였으며, 세포치료센터에서 PRP 치료를 위한 채혈 및 조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내분비내과는 췌도이식과 관련된 상담 및 이식진행을 위한 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성형외과에서는 자가지방유래 세포기질분을 분리 추출하여 혈관질환 환자에게 주입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현재는 자가지방유래 간질혈관분획(SVF) 세포치료술을 임상에 적용중이며 세포치료센터에서 교반과 분리추출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와 관련된 업무를 세포치료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가이드라인에 따라 <첨단재생의료포털>을 통한 연구계획 심의 신청 접수 지원, 임상연구 진행에 필요한 교육 및 문서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세포치료센터는 각 질환에 대한 임상연구 대상자 발생 시 실무진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업을 통해 탄력적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원내 세포치료 연구 활성화 도모를 위해 임상연구를 희망하는 임상과를 대상으로 연구진행을 위한 공간, 장비, 인력 등의 인프라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진료 예약 대표전화번호 : 1588-1511
인터넷 예약 : http://www.cmcseoul.or.kr/
문의 : cmccell@catholic.ac.kr